맨위로가기

양성 종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성 종양은 악성 종양과 달리 주변 조직으로 침윤하거나 전이되지 않고, 비교적 천천히 성장하는 종양을 의미한다. 발생 위치와 조직 유형에 따라 무증상이거나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종괴 효과로 주변 조직을 압박하여 기능 장애를 일으키기도 한다. 원인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PTEN 하마르토마 증후군,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 결절성 경화증, 폰 히펠-린다우병 등이 관련되어 있다. 양성 종양은 일반적으로 수술을 통해 제거하며, 일부 종양은 약물 치료나 방사선 치료가 적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성 종양 - 혈관종
    혈관종은 혈관 내피세포 증식으로 생기는 양성 종양으로, 발생 시기, 형태, 위치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뉘며, 임상적 진단 후 자연 퇴행을 기다리거나 약물 또는 외과적 치료를 시행한다.
  • 양성 종양 - 자궁근종
    자궁근종은 가임기 여성에게 흔히 발생하는 자궁 평활근의 양성 종양으로, 위치와 크기에 따라 다양한 증상을 유발하거나 무증상일 수 있으며, 비정상 자궁 출혈, 월경 과다, 골반 통증 등이 주된 증상이고, 골반 검사, 초음파 검사, MRI 등을 통해 진단하며, 약물 치료, 수술, 자궁 동맥 색전술,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 등 다양한 치료법이 활용된다.
  • 의학 용어 - 만성질환
    만성질환은 암, 심혈관 질환, 당뇨병 등 장기간 지속되는 건강 문제로, 식습관, 생활 습관, 사회경제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며, 예방을 위해서는 건강한 생활 습관과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
  • 의학 용어 - 후유증
    후유증은 질병이나 외상 이후에 나타나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 문제이며, 다양한 질환과 외상으로 인해 발생하고, 진단과 치료,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다.
양성 종양
질병 개요
이름양성 종양
영어 이름Benign tumor
동의어비암성 종양
임상 정보
분야종양학
병리학
증상(제공된 정보 없음)
합병증(제공된 정보 없음)
발병 시기(제공된 정보 없음)
지속 기간(제공된 정보 없음)
유형(제공된 정보 없음)
원인 및 위험 요소
원인(제공된 정보 없음)
위험 요소(제공된 정보 없음)
진단 및 감별 진단
진단(제공된 정보 없음)
감별 진단(제공된 정보 없음)
예방 및 치료
예방(제공된 정보 없음)
치료(제공된 정보 없음)
약물(제공된 정보 없음)
예후 및 빈도
예후(제공된 정보 없음)
빈도(제공된 정보 없음)
사망(제공된 정보 없음)
이미지
정상 표피와 진피, 10배 확대한 피내 모반
정상 표피와 진피를 10배 확대한 피내 모반

2. 증상 및 징후

양성 종양은 발생 위치와 조직 유형에 따라 증상이 없거나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양성 종양은 바깥쪽으로 자라면서 크고 둥근 종괴를 형성하는데, 이를 "종괴 효과"라고 한다. 이러한 종괴는 주변 조직이나 장기를 압박하여 관의 폐쇄, 혈류 감소(허혈), 조직 괴사(괴사) 및 신경통, 신경 손상 등을 일으킬 수 있다.[3]

일부 종양은 생명을 위협하는 호르몬을 생성하기도 한다. 인슐린종은 다량의 인슐린을 생성하여 저혈당증을 유발할 수 있다.[4][5] 뇌하수체 선종은 성장 호르몬과 인슐린유사성장인자-1과 같은 호르몬 수치를 상승시켜 말단비대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프로락틴, ACTH 및 코르티솔쿠싱 증후군을, TSH은 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그리고 FSH와 LH를 유발할 수 있다.[6] 다양한 양성 결장 종양은 장중첩을 유발할 수 있다.[7]

피부 종양과 같은 경우 미용상 문제를 일으켜 심리적, 사회적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다.[8] 혈관종과 같은 혈관 조직 종양은 출혈을 일으켜 빈혈을 유발할 수 있다.[9]

3. 원인

양성 종양의 발생 원인은 다양하며,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PTEN 하마르토마 증후군은 종양억제유전자인 PTEN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특징으로 하는 하마르토마성 질환을 포함하며,[10] 카우덴 증후군, 바나얀-릴리-루발카바 증후군, 프로테우스 증후군 및 프로테우스 유사 증후군이 이에 해당된다.[11] 카우덴 증후군은 여러 개의 양성 하마르토마와 유방 및 갑상선을 포함한 여러 장기의 암 발생 가능성을 특징으로 하는 상염색체 우성 유전 질환이다.[12][13] 바나얀-릴리-루발카바 증후군은 하마르토마성 장 폴립증, 대두증, 지방종증, 혈관종증 및 귀두 반점을 특징으로 하는 선천성 질환이다.[11][14] 프로테우스 증후군은 모반, 다양한 신체 부위의 비대칭 과성장, 지방 조직 조절 장애, 낭선종, 선종, 혈관 기형을 특징으로 한다.[15][16]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FAP)은 APC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는 가족성 암 증후군으로, 결장에 선종성 용종이 나타나며, 제거되지 않으면 대장암으로 진행된다.[17] APC 유전자는 종양 억제 유전자로, 불활성화되면 β-카테닌이라는 단백질의 축적을 초래하여 세포 증식, 분화, 이동 및 세포자멸사에 관여하는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켜 양성 종양의 성장을 유발한다.[18]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 환자의 S상 결장 내시경 사진.


결절성 경화증(TSC)은 TSC1 유전자와 TSC2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하는 상염색체 우성 유전 질환으로, 혈관섬유종, 신장 혈관지방근종, 폐 림프관근종증을 포함한 여러 양성 하마르토마성 종양을 동반한다. TSC1 유전자는 하마르틴 단백질을, TSC2 유전자는 튜버린 단백질을 생성하며, 이들의 불활성화는 mTOR 활성 증가를 유발하여 세포 성장을 증가시킨다.[19][20][21]

폰 히펠-린다우병은 우성 유전성 암 증후군으로, 양성 혈관모세포종과 악성 부신경절종, 신세포암, 췌장 내분비종양, 내림프낭종 등의 위험을 증가시킨다.[22] 폰 히펠-린다우 종양 억제 유전자의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며, VHL 단백질(pVHL)의 기능 장애는 HIF1α의 축적을 초래하여 세포 성장 및 혈관 생성에 관여하는 물질의 생산을 담당하는 유전자를 활성화시킨다.[22]

4. 병리학적 특징

양성 종양은 일반적으로 섬유성 결합 조직 캡슐에 싸여 제한된 영역에서 자라며, 악성 종양보다 성장 속도가 느리다.[3] 양성 종양은 악성 종양보다 건강상의 위험이 낮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양성 종양과 악성 종양은 여러 특징을 공유하지만, 때로는 한 유형이 다른 유형의 특징을 보일 수 있다.[28][29] 예를 들어, 양성 종양은 대부분 분화가 잘 되어 있지만, 미분화된 양성 종양도 발생할 수 있다.[28][29]

섬유종(왼쪽) 대 악성 종양(오른쪽)


상피세포 두 종양을 보여주는 그림. 위쪽 종양은 비침윤성 양성 종양이다. 양성 종양은 일반적으로 둥근 모양이며 섬유성 결합 조직으로 둘러싸여 있다. 아래 그림은 악성 종양을 보여준다. 모양이 불규칙하고 혈관이 풍부하며 침윤성으로 기저막을 통과한다.


CT 및 흉부 X선 촬영은 양성 종양을 시각화하고 악성 종양과 구별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지름이 2cm 미만인 폐 결절의 80%는 양성이며, 대부분의 양성 결절은 경계가 명확한 매끄러운 방사선 불투과성 밀도를 나타내지만, 이는 양성 종양만의 배타적인 징후는 아니다.[32]

종양은 발암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데, 다단계 발암 과정에는 세포의 DNA에 순차적인 유전적 또는 후성유전학적 변화가 포함되며, 각 단계마다 더 진행된 종양이 생성된다.[33][34] 이 과정은 개시, 촉진, 진행으로 나뉘며, 각 단계에서 여러 돌연변이가 발생할 수 있다. 진행 단계는 양성 종양을 악성 종양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33][34] 결장용종의 일반적인 유형이자 결장암의 중요한 전구체인 관상선종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자궁 경부의 전암성 병변과 같이 별개의 종괴를 형성하지 않는 다른 전암성 조직 이상에서도 세포 이상이 관찰된다.

양성 종양세포는 자율적으로 증식하지만, 영양혈관 부족 등 증식을 허용하지 않는 환경에서는 증식을 멈춘다. 분화도가 높은 악성종양보다 더 높은 분화도를 가진다. 발암 기전은 다단계이며, 양성 종양과 악성 종양의 경계는 명확하지 않다.

형태적으로 양성 종양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모든 양성 종양에 해당하지 않으며, 이러한 특징을 가진다고 모두 양성인 것은 아니다).

  • 주변 조직을 압박하면서 증식하며, 육안 및 현미경적으로 주변과 경계가 명확한 '''팽창성 증식'''을 보인다. 전이 및 침윤 경향은 없다.
  • 발생 모(母)조직과 거의 유사한(=유관적인 organoid한) 조직 구조를 보인다. 즉, 구조이형성이 작다.(하지만 선종의 선관은 극성을 갖지 않는 주행을 보이며, 3차원적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등 정상 구조는 아니다.)
  • 개별 세포의 형태도 모(母)조직의 정상 세포와 큰 차이가 없다. 즉, 세포 이형성이 작다.
  • 세포주기가 길고, 이상 핵분열을 일으키지 않는다.

5. 진단

6. 치료

양성 종양은 발작, 불편함 또는 미용상의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아니면 일반적으로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38] 수술은 대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며 대부분의 양성 종양 치료에 사용된다.[38]

직장의 선종은 경화요법으로 치료할 수 있는데, 이는 혈관을 수축시켜 혈액 공급을 차단하기 위해 화학 물질을 사용하는 방법이다.[38] 대부분의 양성 종양은 항암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치료에 반응하지 않지만, 예외적으로 두개강 내 양성 종양은 특정 상황에서 방사선 치료와 항암화학요법으로 치료되기도 한다.[39][40] 방사선은 직장 혈관종 치료에도 사용될 수 있다.[38]

양성 피부 종양은 일반적으로 수술적으로 절제되지만, 냉동요법, 소파술, 전기소작술, 레이저 치료, 피부 연마술, 화학적 박피술 및 국소 약물 치료와 같은 다른 치료법도 사용된다.[41][42]

악성 종양은 종종 양성 종양에서 발생하기 때문에(=양성 종양이 악성화되기 때문에), 임상적으로는 그 의미에서도 종양의 양성과 악성의 명확한 경계를 짓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대장용종을 예로 들면, 수 밀리미터의 용종은 '''선종'''이며 그대로 진행되면 대체로 양성이지만, 수 센티미터를 넘으면 상당한 확률로 선암 세포가 나타나 대장암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양성 종양은 전암 상태로 볼 수도 있지만, 암세포 분화에 관해서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고, 이러한 생각에 대한 반론도 있다.

7. 종류

종양과 세포 기원
세포 기원세포 유형종양
내배엽담도담관암
결장결장용종
선성선종
유두종
낭선종
간세포 선종
태반포배
신장신세뇨관 선종
편평상피세포편평상피 유두종
기저선 선종성 용종
중배엽혈관혈관종, 심내막 섬유종
골종
연골연골종
지방 조직지방종
섬유 조직섬유종
림프관림프관종
평활근평활근종
횡문근횡문근종
외배엽신경교세포성상세포종, 신경초종
멜라닌세포모반
뇌막수막종
신경세포신경절 신경종
참고[35]



양성 신생물은 일반적으로 기원 기관의 정상 세포 유형과 강한 유사성을 지닌 세포로 구성된다.[36] 이러한 종양은 기원하는 세포 또는 조직 유형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다. 접미사 "-종"은 양성 종양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그러나 -암종, -육종 또는 -모세포종은 일반적으로 암을 나타내는 접미사이다) 예를 들어, 지방종은 지방 세포(지방세포)의 일반적인 양성 종양이며, 연골종은 연골 형성 세포(연골세포)의 양성 종양이다. 선종은 선 형성 세포의 양성 종양이며, 일반적으로 간세포 선종(간세포 또는 간 세포의 양성 종양)과 같이 세포 또는 기관의 기원에 따라 더 자세히 명시된다. 기형종은 피부, 신경, 뇌, 갑상선 등과 같은 많은 세포 유형을 포함하는데, 이는 생식 세포에서 유래하기 때문이다.[36] 과오종은 상대적으로 정상적인 세포 분화를 나타내지만 조직 구성이 비정상적인 양성 종양 그룹이다.[19]

명명 규칙에는 역사적 이유로 예외가 있는데, 악성 사례에는 흑색종(색소성 피부 세포 또는 멜라닌 세포의 암)과 정상세포종(수컷 생식 세포의 암)이 포함된다.[37]

양성 종양에는 모든 양성 증식이 포함되는 것은 아니다. 피부 폴립, 성대 폴립 및 결장의 과형성성 폴립은 종종 양성으로 언급되지만, 신생물이라기보다는 정상 조직의 과성장이다.[36]

메르크 매뉴얼에 기술되어 있는 주요 양성 종양은 다음과 같다.[43]


  • 뇌의 양성 종양
  • *뇌하수체 선종
  • 뼈의 양성 종양
  • *골연골성 외골증
  • *연골종
  • *연골모세포종
  • *골화섬유종
  • *거대세포종
  • 식도의 양성 종양
  • *평활근종
  • 소장의 양성 종양
  • *평활근종
  • *지방종
  • *신경섬유종
  • *섬유종
  • *혈관종
  • *폴립
  • 간의 양성 종양
  • *간세포성 선종
  • *담관선종
  • 담관의 양성 종양
  • *유두종
  • *융모선종
  • 귀의 양성 종양
  • *이루
  • *진주종(종양이 아니므로)
  • 비강 내의 양성 종양
  • *섬유종
  • *혈관종
  • *신경섬유종
  • *신경초종
  • *골화성 섬유종
  • 후두의 양성 종양
  • *혈관종
  • *섬유종
  • *연골종
  • *점액종
  • *신경섬유종
  • 구강·타액선의 양성 종양
  • *양성 다형성 선종
  • *단형성 선종
  • *온코사이토마
  • *유두상 림프종낭선종
  • *법랑상피종
  • 피부, 피하조직의 양성 종양
  • *모반
  • *현수섬유종
  • *혈관종
  • *혈관성 모반
  • *림프관종
  • *화농성 육아종
  • *지루각화증
  • *피부섬유종
  • *각화극세포종
  • *켈로이드
  • *지방종
  • *갈색지방종
  • *신경섬유종
  • *슈반세포(신경초)종
  • *피지낭종(아테롬)


; 뇌의 양성 종양

뇌의 양성 종양에는 뇌하수체 선종이 있다.[43] 뇌하수체 선종은 선 형성 세포의 양성 종양으로, 뇌하수체에서 발생한다.[36]

; 뼈의 양성 종양

뼈의 양성 종양은 거시적으로 유사할 수 있으며, 진단을 위해서는 병력과 함께 세포유전학적, 분자생물학적, 방사선학적 검사가 필요하다.[23] 일반적인 뼈의 양성 종양으로는 골 거대 세포 종양, 골연골종, 연골종이 있다.[23]

골연골종은 뼈에서 연골로 덮인 돌기가 형성되는 종양이다. 골수강과 골피질과 같은 골연골종의 구조는 원래 뼈의 구조와 연결되어 있으며, 발생 부위는 종종 장골의 골간단을 포함한다. 많은 골연골종은 자발적으로 발생하지만, 한 개인에게 여러 개의 골연골종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유전성 다발성 골연골종으로 알려진 유전적 질환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골연골종은 X선 사진에서 관절에서 멀리 뻗어나가는 종괴로 나타난다.[23] 이 종양은 모체 뼈의 성장판이 닫히면 성장을 멈추는데, 성장이 멈추지 않는 것은 악성 연골육종으로의 변형을 나타낼 수 있다. 증상이 없는 경우에는 치료가 필요하지 않으며,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수술적 절제술이 종종 치료적이다.

연골종은 유리연골의 양성 종양으로, 뼈 안에서 종종 골간단에서 발견된다. 작은 뼈, 긴 뼈, 축성골을 포함한 많은 종류의 뼈에서 발견될 수 있다. 연골종의 X선 사진은 경계가 명확하고 반점 모양을 보인다.[23] 다발성 연골종의 증상은 다발성 연골종증(올리어병)과 일치한다. 연골종의 치료는 외과적 소파술과 이식을 포함한다.

거대 세포 종양은 흔히 팔다리뼈대의 장골 골단 또는 몸통뼈대의 천골에서 발생한다. 국소 성장은 인접한 피질골과 연조직을 파괴하여 통증을 유발하고 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거대 세포 종양의 특징적인 방사선학적 소견은 골의 경계 경화가 없는 용해성 병변이다. 조직학적으로, 융합된 파골세포의 거대 세포는 신생물성 단핵 세포에 대한 반응으로 관찰된다. 거대 세포는 거대 세포 종양에만 국한된 뼈의 양성 종양의 특징이 아니다. 거대 세포 종양을 일으키는 신생물 세포의 분자적 특징은 전골아세포 표지자를 채택하는 다능성 중간엽 줄기 세포의 기원을 나타낸다. 거대 세포 종양의 염색체 이상은 텔로미어와 관련이 있다. 치료에는 수술적 소파술과 보조제인 비스포스포네이트가 포함된다.

; 소화기계 양성 종양

소화기계의 양성 종양은 다음과 같다.

  • '''식도''': 평활근종이 가장 흔한 식도의 양성 종양이다.[43]
  • '''소장''': 평활근종, 지방종, 신경섬유종, 섬유종, 혈관종, 폴립 등이 발생할 수 있다.[43]
  • '''간''': 간세포 선종과 담관 선종이 있다.[43]
  • '''담관''': 유두종과 융모 선종이 발생할 수 있다.[43]


선종은 선(腺) 형성 세포의 양성 종양이며, 일반적으로 간세포 선종(간세포 또는 간 세포의 양성 종양)과 같이 세포 또는 기관의 기원에 따라 더 자세히 명시된다.[36]

; 이비인후과 양성 종양

이비인후과에서 발견되는 양성 종양은 다음과 같다. 귀에서는 이루와 진주종이 발견되는데, 진주종은 종양이 아니다.[43] 비강 내에서는 섬유종, 혈관종, 신경섬유종, 신경초종 등이 발견된다.[43] 후두에서는 혈관종, 섬유종, 연골종, 점액종, 신경섬유종 등이 발생할 수 있다.[43]

; 구강 및 타액선 양성 종양

선종은 선 형성 세포의 양성 종양이며, 일반적으로 간세포 선종(간세포 또는 간 세포의 양성 종양)과 같이 세포 또는 기관의 기원에 따라 더 자세히 명시된다.[36] 구강 및 타액선 양성 종양에는 양성 다형성 선종, 단형성 선종, 온코사이토마, 유두상 림프종낭선종, 법랑상피종 등이 있다.[43]

; 피부 및 피하조직 양성 종양

피부 및 피하조직의 양성 종양에는 색소성 모반, 현수 섬유종, 혈관종, 림프관종, 화농성 육아종, 지루 각화증, 피부 섬유종, 각화 극세포종, 켈로이드, 지방종, 갈색 지방종, 신경 섬유종, 슈반 세포종, 피지 낭종(아테롬) 등이 있다.[43]

지방종은 지방세포로 구성된 양성의 피하 종양이다.[24] 통증이 없고 서서히 자라며, 몸통과 상지에서 주로 발견되지만, 지방세포가 있는 신체 어느 곳에서나 발생할 수 있다.[24] 40세에서 60세 사이에 더 흔하게 나타나며,[24] 인구의 약 1%에 영향을 미친다.[25][26] 지방종의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이 환자의 약 2~3%에서 역할을 한다.[25] 프로테우스 증후군이나 가족성 다발성 지방종과 같은 유전 질환이 있는 사람들에게서 다발성 지방종이 나타나는 경우가 흔하며,12번 염색체 돌연변이가 발견되기도 한다.[25] 비만, 고지혈증, 당뇨병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5] 지방종은 주로 임상적으로 진단되지만, 필요에 따라 영상 검사(초음파, 컴퓨터 단층 촬영, 자기 공명 영상)를 활용할 수 있다.[24] 치료는 주로 외과적 절제술로 이루어지며, 제거 후 재발은 드물지만 불완전 제거 시 발생할 수 있다.[25]

지방종


; 기타 양성 종양

지방종은 지방세포로 구성된 양성 종양으로, 주로 몸통과 상지에서 발견되지만, 지방세포가 있는 신체의 어느 곳에서나 발생할 수 있다.[24] 통증이 없고, 서서히 자라며, 이동성이 있는 종괴 형태를 띤다.[24] 40세에서 60세 사이에 흔히 발생하며,[24] 인구의 약 1%에 영향을 미친다.[25][26]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이 환자의 약 2~3%에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5] 프로테우스 증후군이나 가족성 다발성 지방종과 같은 유전 질환이 있는 경우 다발성 지방종이 나타나기도 한다.[25] 또한, 비만, 고지혈증, 당뇨병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다.[25]

지방종은 임상적으로 진단되지만, 필요에 따라 영상 검사(초음파, 컴퓨터 단층 촬영, 자기 공명 영상)를 활용하기도 한다.[24] 주된 치료법은 외과적 절제술이며, 절제 후에는 조직병리학 검사를 통해 확진한다.[24] 양성 지방종은 예후가 좋으며, 재발은 드물지만 불완전한 제거 시 발생할 수 있다.[25]

이 외에도 다양한 연조직에서 양성 종양이 발생할 수 있는데, 섬유종, 신경섬유종, 혈관종 등이 이에 해당한다. 섬유종은 섬유 조직에서, 신경섬유종은 신경 조직에서, 혈관종은 혈관 조직에서 발생하는 양성 종양이다.

7. 1. 뇌의 양성 종양

뇌의 양성 종양에는 뇌하수체 선종이 있다.[43] 뇌하수체 선종은 선 형성 세포의 양성 종양으로, 뇌하수체에서 발생한다.[36]

7. 2. 뼈의 양성 종양

뼈의 양성 종양은 거시적으로 유사할 수 있으며, 진단을 위해서는 병력과 함께 세포유전학적, 분자생물학적, 방사선학적 검사가 필요하다.[23] 일반적인 뼈의 양성 종양으로는 골 거대 세포 종양, 골연골종, 연골종이 있다.[23]

골연골종은 뼈에서 연골로 덮인 돌기가 형성되는 종양이다. 골수강과 골피질과 같은 골연골종의 구조는 원래 뼈의 구조와 연결되어 있으며, 발생 부위는 종종 장골의 골간단을 포함한다. 많은 골연골종은 자발적으로 발생하지만, 한 개인에게 여러 개의 골연골종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유전성 다발성 골연골종으로 알려진 유전적 질환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골연골종은 X선 사진에서 관절에서 멀리 뻗어나가는 종괴로 나타난다.[23] 이 종양은 모체 뼈의 성장판이 닫히면 성장을 멈추는데, 성장이 멈추지 않는 것은 악성 연골육종으로의 변형을 나타낼 수 있다. 증상이 없는 경우에는 치료가 필요하지 않으며,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수술적 절제술이 종종 치료적이다.

연골종은 유리연골의 양성 종양으로, 뼈 안에서 종종 골간단에서 발견된다. 작은 뼈, 긴 뼈, 축성골을 포함한 많은 종류의 뼈에서 발견될 수 있다. 연골종의 X선 사진은 경계가 명확하고 반점 모양을 보인다.[23] 다발성 연골종의 증상은 다발성 연골종증(올리어병)과 일치한다. 연골종의 치료는 외과적 소파술과 이식을 포함한다.

거대 세포 종양은 흔히 팔다리뼈대의 장골 골단 또는 몸통뼈대의 천골에서 발생한다. 국소 성장은 인접한 피질골과 연조직을 파괴하여 통증을 유발하고 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거대 세포 종양의 특징적인 방사선학적 소견은 골의 경계 경화가 없는 용해성 병변이다. 조직학적으로, 융합된 파골세포의 거대 세포는 신생물성 단핵 세포에 대한 반응으로 관찰된다. 거대 세포는 거대 세포 종양에만 국한된 뼈의 양성 종양의 특징이 아니다. 거대 세포 종양을 일으키는 신생물 세포의 분자적 특징은 전골아세포 표지자를 채택하는 다능성 중간엽 줄기 세포의 기원을 나타낸다. 거대 세포 종양의 염색체 이상은 텔로미어와 관련이 있다. 치료에는 수술적 소파술과 보조제인 비스포스포네이트가 포함된다.

7. 3. 소화기계 양성 종양

소화기계의 양성 종양은 다음과 같다.

  • '''식도''': 평활근종이 가장 흔한 식도의 양성 종양이다.[43]
  • '''소장''': 평활근종, 지방종, 신경섬유종, 섬유종, 혈관종, 폴립 등이 발생할 수 있다.[43]
  • '''간''': 간세포 선종과 담관 선종이 있다.[43]
  • '''담관''': 유두종과 융모 선종이 발생할 수 있다.[43]


선종은 선(腺) 형성 세포의 양성 종양이며, 일반적으로 간세포 선종(간세포 또는 간 세포의 양성 종양)과 같이 세포 또는 기관의 기원에 따라 더 자세히 명시된다.[36]

7. 4. 이비인후과 양성 종양

이비인후과에서 발견되는 양성 종양은 다음과 같다. 귀에서는 이루와 진주종이 발견되는데, 진주종은 종양이 아니다.[43] 비강 내에서는 섬유종, 혈관종, 신경섬유종, 신경초종 등이 발견된다.[43] 후두에서는 혈관종, 섬유종, 연골종, 점액종, 신경섬유종 등이 발생할 수 있다.[43]

7. 5. 구강 및 타액선 양성 종양

선종은 선 형성 세포의 양성 종양이며, 일반적으로 간세포 선종(간세포 또는 간 세포의 양성 종양)과 같이 세포 또는 기관의 기원에 따라 더 자세히 명시된다.[36] 구강 및 타액선 양성 종양에는 양성 다형성 선종, 단형성 선종, 온코사이토마, 유두상 림프종낭선종, 법랑상피종 등이 있다.[43]

7. 6. 피부 및 피하조직 양성 종양

피부 및 피하조직의 양성 종양에는 색소성 모반, 현수 섬유종, 혈관종, 림프관종, 화농성 육아종, 지루 각화증, 피부 섬유종, 각화 극세포종, 켈로이드, 지방종, 갈색 지방종, 신경 섬유종, 슈반 세포종, 피지 낭종(아테롬) 등이 있다.[43]

지방종은 지방세포로 구성된 양성의 피하 종양이다.[24] 통증이 없고 서서히 자라며, 몸통과 상지에서 주로 발견되지만, 지방세포가 있는 신체 어느 곳에서나 발생할 수 있다.[24] 40세에서 60세 사이에 더 흔하게 나타나며,[24] 인구의 약 1%에 영향을 미친다.[25][26] 지방종의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이 환자의 약 2~3%에서 역할을 한다.[25] 프로테우스 증후군이나 가족성 다발성 지방종과 같은 유전 질환이 있는 사람들에게서 다발성 지방종이 나타나는 경우가 흔하며,12번 염색체 돌연변이가 발견되기도 한다.[25] 비만, 고지혈증, 당뇨병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5] 지방종은 주로 임상적으로 진단되지만, 필요에 따라 영상 검사(초음파, 컴퓨터 단층 촬영, 자기 공명 영상)를 활용할 수 있다.[24] 치료는 주로 외과적 절제술로 이루어지며, 제거 후 재발은 드물지만 불완전 제거 시 발생할 수 있다.[25]

7. 7. 기타 양성 종양

지방종은 지방세포로 구성된 양성 종양으로, 주로 몸통과 상지에서 발견되지만, 지방세포가 있는 신체의 어느 곳에서나 발생할 수 있다.[24] 통증이 없고, 서서히 자라며, 이동성이 있는 종괴 형태를 띤다.[24] 40세에서 60세 사이에 흔히 발생하며,[24] 인구의 약 1%에 영향을 미친다.[25][26]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이 환자의 약 2~3%에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5] 프로테우스 증후군이나 가족성 다발성 지방종과 같은 유전 질환이 있는 경우 다발성 지방종이 나타나기도 한다.[25] 또한, 비만, 고지혈증, 당뇨병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다.[25]

지방종은 임상적으로 진단되지만, 필요에 따라 영상 검사(초음파, 컴퓨터 단층 촬영, 자기 공명 영상)를 활용하기도 한다.[24] 주된 치료법은 외과적 절제술이며, 절제 후에는 조직병리학 검사를 통해 확진한다.[24] 양성 지방종은 예후가 좋으며, 재발은 드물지만 불완전한 제거 시 발생할 수 있다.[25]

이 외에도 다양한 연조직에서 양성 종양이 발생할 수 있는데, 섬유종, 신경섬유종, 혈관종 등이 이에 해당한다. 섬유종은 섬유 조직에서, 신경섬유종은 신경 조직에서, 혈관종은 혈관 조직에서 발생하는 양성 종양이다.

참조

[1] 사전 Benign
[2] 서적 MSD Manual Consumer Version https://www.msdmanua[...] 2021-02-00
[3] 서적 Ross and Wilson anatomy and physiology in health and illness Churchill Livingstone
[4] 학술지 Tumours producing hypoglycaemia 1991-06-00
[5] 학술지 Insulinoma 2005-10-00
[6] 서적 Pathology and genetics of tumours of endocrine organs IARC Press
[7] 학술지 Small intestinal neoplasms 2001-10-00
[8] 학술지 Congenital melanocytic nevi needing treatment
[9] 서적 Benign tumors of the colon and rectum https://www.ncbi.nlm[...] Surgical Treatment: Evidence-Based and Problem-Oriented.
[10] 학술지 ''PTEN'' Hamartoma Tumor Syndrome: A Clinical Overview 2019-06-00
[11] 학술지 PTEN hamartoma tumor syndrome: an overview 2009-10-00
[12] 학술지 Will the real Cowden syndrome please stand up (again)? Expanding mutational and clinical spectra of the PTEN hamartoma tumour syndrome 2004-05-00
[13] 학술지 Will the real Cowden syndrome please stand up: revised diagnostic criteria 2000-11-00
[14] 학술지 PTEN: one gene, many syndromes 2003-09-00
[15] 학술지 PTEN hamartoma tumor syndromes 2008-11-00
[16] 학술지 Proteus syndrome: an update 2005-08-00
[17] 학술지 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 2006-02-00
[18] 학술지 Adenomatous polyposis coli (APC): a multi-functional tumor suppressor gene 2007-10-00
[19] 학술지 Dysregulation of the TSC-mTOR pathway in human disease 2005-01-00
[20] 학술지 The tuberous sclerosis complex 2006-09-00
[21] 학술지 Tuberous sclerosis: from tubers to mTOR 2003-01-00
[22] 학술지 Von Hippel–Lindau disease 2004-12-00
[23] 학술지 Benign bone tumors--recent developments 2011-02-00
[24] 학술지 Clinical presentation, diagnostic approach, and treatment of hand lipomas: a review https://pubmed.ncbi.[...] 2018-09-00
[25] 간행물 Lipoma http://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2-09-19
[26] 간행물 Lipoma Pathology http://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2-09-19
[27] 서적 Cancer https://archive.org/[...] Twenty-First Century Books
[28] 학술지 Clinical and morphological features of undifferentiated monomorphous GH/TSH-secreting pituitary adenoma 1999-06-00
[29] 학술지 Uncommon metastases from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30] 학술지 Hamartoma: on occasion a rapidly growing tumor of the lung 1968-11-00
[31] 서적 Rubin's pathology: clinicopathologic foundations of medicine Wolters Kluwer/Lippincott Williams & Wilkins
[32] 학술지 Solitary pulmonary nodules: Part I. Morphologic evaluation for differentiation of benign and malignant lesions 2000-00-00
[33] 학술지 Tumour progression and the nature of cancer 1991-10-00
[34] 학술지 Mechanisms of multistep carcinogenesis and carcinogen risk assessment 1993-04-00
[35] 서적 Cancer nursing: principles and practice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36] 서적 Rubin's pathology: clinicopathologic foundations of medicine Wolters Kluwer/Lippincott Williams & Wilkins
[37] 서적 Robbins Pathologic Basis of Disease W.B. Saunders
[38] 서적 Benign tumors of the colon and rectum https://www.ncbi.nlm[...] Surgical Treatment: Evidence-Based and Problem-Oriented.
[39] 학술지 Radiotherapy for benign brain tumours coming of age; example of vestibular schwannoma 2013-02-00
[40] 학술지 Chemotherapy, hormonal therapy, and immunotherapy for recurrent meningiomas 2009-03-00
[41] 학술지 Common benign skin tumors 2003-02-00
[42] 학술지 Congenital melanocytic nevi: treatment modalities and management options 2007-12-00
[43] 웹사이트 메르크 매뉴얼 https://web.archive.[...] 2024-1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